2019 여름호 (235호) 해외교육 학생과 교사가 만드는 학교 건축 이화룡 (공주대학교, 교수) 들어가며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학교 공간 혁신 사업’은 사용자 참여를 통해 사용자 및 미래교육이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19년 6월 27일 해외교육
2019 여름호 (235호) 해외교육 창의적인 교육 공간 생각해 보기 최인규 (인제대학교, 교수) 1. 창의적인 공간을 위한 문제제기 우리는 19세기 교실에서 20세기 교육자들이 21세기 인재들을 교육하고 있다고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19년 6월 27일 해외교육
2019 봄호 (234호) 해외교육 학교의 교육성취 평가와 교사의 역할 과제 학교의 교육성취 평가와 교사의 역할 과제– 독일 교육학의 학업성취 평가 논의를 참고하여 정영근 (상명대학교, 교수) 1. 근대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19년 4월 1일 해외교육
2019 봄호 (234호) 해외교육 핀란드 학교의 학생평가 특징과 시사점 김병찬 (경희대학교, 교수) 핀란드는 많은 다른 나라와 달리 국가수준의 학생평가를 실시하지 않는 나라이다(Sahlberg, 2011).1 즉 핀란드에서는 학생들에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19년 4월 1일 해외교육
2018 겨울호 (233호) 2018 해외교육 독일 통일교육이 한국 통일교육에 주는 시사점 김상무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교수 이 글은 통일 이전 서독의 통일교육정책, 독일 통일과정의 성격과 교육통합, 독일 통일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18년 12월 18일 해외교육
2018 겨울호 (233호) 2018 해외교육 통일독일의 동독청소년 사회통합을 통해 보는 21세기 통일한국의 청소년 사회통합 이민희 평택대학교 아동청소년교육상담학과 교수 통일독일의 청소년 사회통합 배경과 의의 제2차 세계대전 후 1949년 동독과 서독으로 양분되었던 독일은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18년 12월 18일 해외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