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획 운영사례Vol.229.겨울호

교사, 프로젝트 수업을 프로젝트하다

교사, 프로젝트 수업을 프로젝트하다

안상원 신도중학교 수석교사

프로젝트 주제 : 신나는 프로젝트, 즐거운 수업


미래 인재가 갖춰야할 핵심역량은 ‘창의와 비판적 시각에 기초한 소통과 협업’이라는 데 모두 동의한다. ‘그렇다면 학교에서 아이들은 어떻게 이러한 역량들을 기를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서 학교 교육의 변화, 수업 방법의 개선을 고민하는 십여 명의 영어교사들이 함께 모여 프로젝트 수업을 논하기 시작했다. 아이들은 수업이 재미없거나, 수업 내용이 자신과 관계가 없어서 수업에 지루함을 느끼고 참여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아이들이 즐거워 하는 수업은 자신의 관심과 흥미를 자극하는 주제나 과제가 있는 수업이 아닐까? 우리는 학생들이 ‘신나는 프로젝트’를 통해 ‘즐거운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변화하는 세상에 적응할 능력을 성장시킬 뿐만 아니라, 책임감을 배우고 세계시민으로서 역할을 익힐 수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1단계: 프로젝트 시작하기
PBL의 경험이 많은 능숙한 교사부터 신규교사까지 다양한 경력의 교사들이 함께 시작한 프로젝트 연구회는 매월 한 번씩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기로 하고 프로젝트 학습의 목표와 목적, 프로젝트의 활동을 학생들에게 안내하는 등대 역할로 시작하였다. 물론,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교사 개개인의 장점과 능력을 알고 우리의 요구에 부합하는 프로젝트를 계획하고자 하였다. 교사의 새로운 역할은 단순히 교과 내용을 가르치는 데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로 하여금 교과 내용을 어떻게 학습하는지를 가르치는 것이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핵심질문(Driving Question)을 진지하게 고민하고 도입활동(Entry Event)을 전개하였다.

2단계: 지식, 이해, 역량 개발하기
교실 수업에의 적용이라는 실제성과 전문성을 위해 다양한 실용서적 발췌 토의 및 미국의 벅 교육협회(BIE:Buck Institute for Education)가 프로젝트 학습을 연구하고 교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한 교육 자료 등에서 더 많은 정보들을 얻을 수 있었다. 실제 수업에의 적용 방안 등을 토의하고 프로젝트 계획안을 작성한 후 상호간의 피드백을 반영하였고 다양한 교수-학습 자원을 수집하며 과제와 활동의 조직, 효과적인 모둠 구성 방법, 모둠 활동 시 관찰과 적절한 개입 등 세밀하게 준비해야 했다.
1학기 말에는 ‘Back to the Basic – 교실 안에서 일어나는 작은 변화 그리고 행복수업’이라는 강의를 통해 교사와 학생이 함께 행복한 수업을 만들기 위한 ‘나’의 수업을 성찰할 수 있었다. 또한 방학 중 워크숍에서는 변화한 교사의 역할과 교수법을 공유하였는데 이는 프로젝트 수업이 학생이 주도하는 수업이기는 하나, 내용과 개념 이해를 위해 강의식수업도 중요하기 때문이었다. 모든 교사는 스포츠 팀의 코치(Every teacher is a coach. 캐롤 톰린슨)와도 같아서 교과 전문가이며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자신의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이끌고, 비전을 공유한 한 ‘팀’을 만드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교사 역량에 대한 고민도 나누고 프로젝트 수업을 시도하려는 교사들을 위한 프로젝트를 기획하였다.

3단계: 결과물을 발전시키고 비평하고 개선하기

선·후배 교사가 멘토와 멘티가 되어 교재 재구성 및 프로젝트 학습을 함께 설계하고 시행하는 과정을 공유하며 그들의 피드백과 제안을 통하여 프로젝트를 되돌아보고 추가 자료, 활동, 추가 학습 등 학생들을 더 깊이 있게 이끌어가고 있다. 2학기를 시작하며, 프로젝트 수업을 처음 접하거나 교과서의 활동 프로젝트만 해본 것이 전부인 교사들이 프로젝트 수업의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관내 경력 3년 이내 영어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 ‘학생활동중심의 수업으로서 프로젝트 학습 실습’을 진행하였고 다양한 방식으로 교사들의 탐구 활동을지속적으로 지원하고자 한다.
‘프로젝트 수업을 프로젝트’하는 과정에서 두 가지 사항을 인식하게 되었다. 첫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학습자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개별화 수업(Differentiated Instruction)’을 통해 그에 맞는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결과물 평가에 못지않게 ‘실제적인’ 실행 과정에서 협력, 의사소통, 문제해결, 팀워크 등을 평가하는 ‘과정중심평가’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핵심질문’을 되돌아보고 우리가 무엇을 했고, 무엇을 학습했으며 무엇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지 충분히 검토하여 아이디어를 나누면서 보완하고 개선하려한다.

4단계: 결과물 발표하기 – 교사들의 ‘프로젝트’는 진행 중
‘빨리 가려거든 혼자 가고, 멀리 가려거든 함께 가라.’
우리는 프로젝트를 통해 함께 배우고 가르치며 함께 성장하고 있다. 학생 스스로 참여함으로써 ‘배움이 즐거운 수업’을 향해 우리의 프로젝트는 현재진행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