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마당2021 봄호 (242호)

모니터링단 ‘겨을호’ 후기

코로나19가 던진 교육격차 문제와 과제를 읽고

정민형(서울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 교사)

‘코로나19가 던진 교육격차 문제와 과제’는 교육격차의 원인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한 점이 인상이 깊은 연구 보고서였습니다. ‘콜먼 보고서, 여름방학 효과’ 등과 같은 외국 사례의 소개와 더불어 실태조사를 통해 현재의 코로나19가 가지고 온 교육격차의 심각성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대안으로 온라인 학습의 질 향상,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강화, 평등에 대한 담론 고찰, 교사 지원 방안 등 서울교육이 교육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적인 고민과 학교와 교육청을 넘어선 정책적인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는 기회였습니다. 온라인 학습을 비롯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의 효과는 부모의 사회적, 문화적 자본에 따라서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교육격차의 원인이 여기에 있지 않았을까?’라는 질문을 남겨봅니다.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진행하고 있는 초3~6 창의·지성·감성 교육, 사회현안논쟁 학습 등 새로운 정책을 구현할 때 학생이 스스로 할 수 있는지, 다른 외부 지원이 없어도 실현 가능할지에 관한 실증적인 검토와 현재의 정책을 다시 살펴보는 기회로 삼아야 합니다. 앞으로 서울교육의 방향이 코로나19를 극복하고 더불어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학교가 학생의 어제-오늘-내일을 연결하는 하나의 삶의 고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교사는 학생의 배움을 위한 협력적 조력자로, 학생은 저마다 소중한 사람으로 성장하기를 기원합니다.

모두를 위한 교육 길잡이

황수미(서울농학교, 교사)

2020년 한 해 동안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많은 선생님들과 교육 관련자들이 한 번도 가보지 않은 길을 가느라 힘들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동시에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들과 교사들이 새로운 시기에 변화된 교육 방향에 적응력을 기르고 적극적으로 임하여 여러 방면에서 긍정적인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한 번도 가보지 않은 길을 가려니 다른 선생님들의 수업 사례를 참고하여 학생에게 좀 더 적합한 교육 방법을 찾거나 전문가들의 조언이 필요했다. 마침 『서울교육』 겨울호에서는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생들과 함께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어, 많은 참고가 되었다. 특수교육은 소수인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개별화 된 교육계획을 통해 수업을 진행한다. 그러나 갑자기 다가온 원격수업 상황에서는 1:1 쌍방향 수업이 아닌 이상 개별화 된 교육이 힘들어지고 학생의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특성을 고려하는 데 한계가 많았다. 청각장애학생의 경우 영상매체를 통한 기계 소리를 듣고 이해하는 것이 어려워서 시각적인 정보 지원이 요구되는데, 원격 수업 시 안내된 EBS 방송이나 e학습터에는 수어 통역이 지원되지 않아 교사가 개별 맞춤 학습지나 영상을 따로 제작해야 했다. 또 쌍방향 수업 시에는 화면 공유 시 얼굴이 작아져서 얼굴 표정과 입 모양, 수어를 제대로 볼 수 없는 어려움도 있었다. 이렇게 수업에 접근하는 방식이 일반학생의 방식과 다르기에 가능하면 등교수업이 훨씬 좋지만 원격수업을 실시할 경우 장애학생의 신체적, 인지적, 학습적 필요성을 고려하여 일반학생과 동등하게 원활한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촘촘하게 배려한 수업 방식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인지·학습적 요구, 신체적 특성, 여러 문화와 배경 등을 가진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수업 설계를 고민해 보아야 한다. 선생님들에게 소수 학생의 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정보를 접할 기회가 주어지고, 적합한 방식을 찾아내 소수 학생에게 적용하는 것이 교육격차와 불평등을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소수를 위한 교육이 다수를 위한 교육이 된다는 믿음으로 『서울교육』이 소수의 학생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특별한 사례나 다양한 전문가들의 글들을 안내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선생님들에게 일깨워 줄 수 있는 모두를 위한 교육 길잡이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2020년 우리의 원격수업에 대하여

권정현(성암여자중학교, 교사)

코로나19로 보낸 지난 1년간 학교는 많은 변화를 겪어 왔으며 교사와 학부모, 학생에게 많은 고민과 과제가 던져졌다. 나의 학창 시절까지 포함하여 학교라는 곳에서 처음으로 4월 개학을 맞이하였고, 학교에 올 수 없는 학생과 교사는 어떻게 수업을 진행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에 빠지기 시작했다. 연일 이어지는 교육부의 발표에 귀를 기울이며 학교에서는 원격수업이라는 사상 초유의 상황과 맞닥뜨리게 되었다.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에서 수업과 평가를 연결하여 진행하는 것은 모든 교사에게 큰 과제로 다가왔다. 본교에서는 연구부장님의 주도로 일단 학교의 전체적인 온라인 플랫폼을 통일화하는 작업부터 시작하여, 연수를 통해 모든 교사들이 원격수업에 적응할 수 있도록 발 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위기 상황에서 교사들의 능력은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모든 교사들이 서로 배우고 협력하여 원격수업을 제작하였으며, 학생 또한 그에 적응하여 학교생활을 시작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원격수업에 적응한 학생들의 참여도는 떨어졌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고민하며 수업과 평가를 연결시키기 위해 교사들과 다양한 의견을 나누며 『서울교육』 책자를 접하게 되었다. 『서울교육』을 읽으며 원격수업에서 교사들의 고민은 다들 비슷했다는 것을 느꼈으며, 쌍방향 수업을 위해 다양한 플랫폼을 이용하고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수업 방법을 생각하고 적용하는 부분에서 많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었다. 많은 선생님들의 한 해 수업 과정을 읽어보며 나의 부족한 점을 되돌아보는 시간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새롭게 시작되는 2021년의 수업 방향을 정함에 있어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시작점이 되었다고 본다. 2020년 한 해는 부족한 것을 개선하며 쌍방향 수업을 진행하는 단계 뿐만 아니라 평가에 이르기까지 정말 많은 교사들의 노력과 고민으로 이 모든 것이 이루어졌다고 생각한다. 2021년에도 많은 교사들의 노력으로 변화된 교육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시도와 사례들이 소개되고 다져지는 한 해가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