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2016 봄호 (222호)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 적용에 따른 초등학교 안전교육 실제

f_03_1_03

글 : 한여옥 / 서울신중초등학교 교감

f_03_1_06

교사와 학생들이 안전매뉴얼을 머릿속에 그리고 있어 재난상황이 발생하여도 유연하게 대처하며, 안전생활이 습관화되어 안전사고 제로상태에서 행복한 학교생활을 할 수는 없을까?
온 나라를 슬픔에 잠기게 했던 세월호 사건 이후 학교 안전교육의 체계를 갖추기 위하여 교육분야 안전종합대책을 세우고,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8조 등을 법적 근거로 하여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마련하였다.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체계적인 안전교육이 가능하도록 수업에 필요한 지도안과 자료를 보급하여 맞춤형 안전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함이었다.
학생들이 안전지대에서 안심하고 자신의 꿈을 펼치며 마음 놓고 공부할 학교 환경을 만들어 주는 일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과제이다. 그러므로 현대사회의 각종 위험으로 부터 능동적으로 대처할 능력을 기르고, 안전생활을 위한 바람직한 태도와 습관을 형성하여 위험상황에서 벗어나 안전한 학교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f_03_1_09

초등학교에서 안전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제반 여건과 환경을 조성하고,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이 학교교육계획에 제대로 편성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할 취약여건을 개선하여야 한다. 또한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맞는 체계적인 안전교육이 실시될 필요가 있으므로 초등 현장에서의 안전교육이 적합하게 운영되는지 실태를 분석하여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f_03_1_11

f_03_1_14

학교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교육과정 내에서의 적용과 지도에 어려움이 있어 안전교육의 저해요인이 되고 있다. 안전교육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인식을 개선하여 체계적이고 적합한 방법으로 지도하여야 한다.

가. 편성 시수와 내용을 인식하고, 학년 단위로 시수를 적합하게 편성한다.
유괴·미아 방지교육 등 의무 지도시간에 대해 학년별 44~51차시의 시간을 배당한다. 학년별 중점 중분류와 소분류로 편성하고, 학년별 중점 영역 편성의 경우 1학년의 입학시기 적응활동에 중점적으로 안전교육 시수를 편성하며, 학년의 발달 단계에 따라 특정영역을 집중 운영하도록 시수를 편성할 수 있다.

나. 신설된 안전 교과목에 안전교과 전담교사를 두어 지도한다.
안전 교과를 매주 1시간 이상 수업을 통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지도한다. 교사양성 대학에 안전교과를 신설하고 전문성을 길러 안전교육을 더욱 적극적으로 지도할 지도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다. 「안전생활지도부」운영으로 안전교육의 체계적 수행 의지를 고양한다.
업무분장 시 ‘안전생활지도부’로 전환하고 기능을 강화하며, 학교폭력담당을 포함한 안전 담당교사를 분야별로 배정한다. 교사들의 자발적인 안전교육 수행의지로 부서를 활성화하여 전체 안전에 대한 인식을 개선한다.

라. 안전교육 자원정보를 공유할 시스템을 구축하여 활성화한다.
프로그램과 자원정보를 공유할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안전 대토론회 운영이나 이동안전 체험교실 운영 및 과학실험실 안전 매뉴얼, 안전교육 프로그램 등의 자료공유부족으로 지도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안전교육 관련 정보 폴더를 만들어 연수를 실시하거나, 다양한 경로로 확보한 자료를 자료서버에 탑재하고 홍보 및 안내하는 등 공유시스템을 마련하여 안전교육을 활성화한다.

f_03_1_16

f_03_1_19

가. 학생 수준과 발달단계를 고려한 체계적 운영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컨설팅을 실시하여 학습자 수준이 고려된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안전교육 7대 표준안 영역별로 교사들의 안전 교육과정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안전교육이 일회적, 나열식으로 편성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연계운영 시 별도로 확보하기보다 교육목표와 내용이 세부 분류된 활동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질 수 있도록 발달 단계별, 상황별로 연계하여 편성·운영하도록 한다.

나. 안전교육 분과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역할을 강화하여야 한다.
학교교육과정위원회의 안전교육 분과 기능을 활성화하여 체계적인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독려한다. 전교사가 참여하여 상황별 내용 구성을 학년별로 연계하여 학교공동체의 안전교육 활동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한다.

다.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상황별·학년별로 연계, 개발·보급하여야 한다.
중점영역의 중·소분류를 설정하여 이수시간을 편성함으로써 체계적인 학년연계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고 안전교육 편성·운영을 지원하여야 한다.

f_03_1_21

라. 학교 여건을 반영한 특성화 프로그램을 개발·편성하도록 한다.
안전교육 학교 특성화 프로그램은 학교의 주변여건을 반영하여 지역사회와의 특색활동을 반영하고, 발달단계에 맞도록 안전교육 활동 등을 편성·운영하여야 한다. 체험을 통한 안전교육 후에는 그 내용을 피드백할 다양한 방법을 창안하여 안전예방 활동이 습관화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f_03_1_23

마. 체험중심 실습위주 프로그램으로 안전교육 생활화를 이루도록 한다.
체험할 활동주제를 정하여 학년별 연계 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체계적으로 구성된 체험중심의 안전교육이 생활화가 되도록 한다. 소방안전(소방서, 소방안전협회), 교통안전(도로교통안전 관리공단)등 안전체험관 학습기회를 확대하고 의무화하여 학기별 1회 이상 안전체험을 실시한다.

f_03_1_25

f_03_1_28

가. 안전교육 영역별 집중연수 실시, 전달연수 방법을 개선해야 한다.
컨설팅장학지원단 등을 활용하여 영역별 연수를 실시하고 안전담당교사 등 연수대상을 점차 확대하며 연수를 교육과정 편성시기에 실시한다. 연수이수자는 교내 전달연수를 적극 실시하고 맞춤식 연수과정에 안전교육을 운영하여 연수를 받기에 용이하도록 하여 교사들의 안전교육 전문성을 신장하도록 해야 한다.

나. 학부모 안전교육 연수기회 확대 및 연수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학부모를 안전교육에 적극 동참시키기 위해서는 올바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학부모 맞춤식 안전교육 연수를 확대해야 한다. 안전 관련 연수를 주관하는 교육기관에서는 생활영역의 비중을 중점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다. 안전교육 연수과정을 다양하게 개설하여 이수자를 안전지도사로 위촉하는 등 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안전 운영역량을 강화하여야 한다. 또한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주민들에게도 안전교육의 기회를 확대하여 모두가 안전을 생활화하는 안전 문화를 확산한다.

f_03_1_30

다. 안전사고 예방교육 자료 형태의 다양화로 안전교육을 활성화한다.
안전교육활동과 관련한 다양한 교재가 제작되었지만 동영상이나 e-book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진 자료가 학교 현장에서는 꼭 필요하다. 앱이나 포켓용 교재도 발간되었으나 학생들이 더욱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안전교재가 제작되고 널리 홍보되어야 한다.

f_03_1_32

f_03_1_34

f_03_1_37

가. 지역사회 안전교육 시설을 활용한 안전교육 학습의 장 구축
지역사회나 기관시설 중에서 안전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시설과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안전시설을 확보하고 활발한 연계활동으로 지역 프로그램을 통한 반복 체험활동이 이루어지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전문단체와의 협조에 의한 연계 안전프로그램 모형이 개발되어 안전교육의 체계적인 활동들이 이루어지고, 적극적인 홍보를 통하여 안전교육 시설을 이용하는 학생이 많아져 안전교육 학습의 장이 구축되어야 한다.

f_03_1_39

나. 안전교육 재능기부 문화를 조성하고 안전문화를 확산하여야 한다.
지역사회를 발판으로 사회전반에서 전문적인 재능을 활용할 안전교육 기부문화를 조성하여 다양한 인적자원을 안전교육활동에 활용하여야 안전교육이 활성화되고 정착될 것이다. ‘안전교육인력풀’의 인프라를 구성하여 공유하는 시스템을 마련하고, 전문가집단 양성을 위한 국가 차원에서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

다. 지역사회 연계 시스템 강화를 통해 반복적인 안전교육을 지원한다.
지역사회 안전체험시설을 찾아가 직접 체험하는 안전교육은 매우 중요하나 시설이 매우 부족하고 체험에 참여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아 지역사회의 연계시스템을 강화할 인적, 물적 자원 지원이 필수적이다. 체험시설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안전의식을 높이고 위기상황에 스스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지속적인 안전교육을 실시할 교육의 장을 구축하여야 한다.

f_03_1_41

학교 안전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마련된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이 학교교육계획 안에서 영역별로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적합한 방법으로 운영되는지 알아보고 안전교육 관련 연수와 자료 활용은 실효성 있게 운영되는지,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협력 운영되고 있는지, 안전교육 편성·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안전교육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학교안전사고를 적극 예방할 수 있게 운영되도록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이 영역별로 체계화 되려면 교육공동체의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 전환 및 체계적 지도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적용한 안전교육의 적합한 운영을 위하여 컨설팅을 실시하고 다양한 프로그램과 운영방법으로 체험중심·실습위주의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전문성을 확보할 양질의 연수와 자료·교재 개발로 활용도 제고 방안이 요구된다.

넷째, 안전교육이 지역사회와 연계·협력하도록 유관기관의 관계를 개선하는 교육의 장을 구축하고, 국가 차원의 전문가 양성 지원 시스템을 강화한다.


 본 원고는 제37회 교육연구논문공모제 입상작을 재구성한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