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마당2023 가을호(252호)

[후기] 모니터단 2023 ‘여름호’ 후기

따뜻한 공존을 위한 『서울교육』

이가은(초등, 신규임용예정교사)

화창한 햇살이 여름을 알리는 6월, 『서울교육』 여름호가 찾아왔다. 교육대학교 생활을 하며 간간이 들여다보았던 『서울교육』은 먼 미래처럼 느껴졌지만, 올해 발령을 기다리며 접한 『서울교육』은 곧 맞이하게 될 현실로 다가왔다. 『서울교육』은 나를 비롯한 예비교사들이 학교현장과 교육소식을 미리 접해볼 수 있는 창구이다. 싱그러운 여름날을 맞이하며 이번 여름호에서도 반가운 학교소식 및 교육정책들을 엿볼 수 있길 기대해 보았다.

2023년 서울교육이 추구하는 방향은 ‘다양성이 꽃피는 공존의 혁신미래교육’이다. 서울교육방향에 따라 이번 여름호에서는 공존교육과 관련한 ‘특별기획’ 편을 마련하였다. ‘특별기획’에서 제시한 ‘따뜻한 공존을 위해 해야 할 5가지’가 인상적이었는데, 이들 중 담임교사로서 할 수 있는 일에는 무엇이 있을까 생각해 보았다. 공존이 있는 학급을 만들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서로에 대한 존중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경어 쓰기’는 학생 간 존중과 따뜻한 관계맺음을 통하여 공존의 바탕이 될 수 있다. 이는 담임교사가 되면 꼭 해보고 싶은 활동 중 하나였는데, 실제 학교에서 활용되고 있는 사례를 엿볼 수 있어 뜻깊었다.

‘교과교육’에서는 유·초·중·고에서 각각 어떠한 교과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보여주었다. 초등교사가 되면 유치원이나 중·고등학교 교사들과는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적을 텐데, 『서울교육』은 서로 다른 학교급 교사들의 연결고리가 되리라 본다. 중·고등학교에서 진행하는 활동들을 눈여겨보고, 초등학생의 수준에 맞추어 적용해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등학교의 ‘학생이 주체가 되는 설명문 읽기 수업’은 초등학교에서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진행할 때, 학급회의를 열어 학생들의 투표로 도서를 선정함으로써 학생이 주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교육현장’에서는 학교현장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들을 수 있었다. 특히 초등학교 영어시간에 활용하고 있는 AI 펭톡은 주목할 만한 점이었다. AI를 교실수업에서 활용하는 것이 당장 우리 반의 사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현장’처럼 요즘 새롭게 나오고 있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다른 학교에서는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꾸준히 공유하는 장이 필요하다.

‘다양성’과 ‘공존’은 학급과 학교를 넘어 학교와 학교 간, 교사와 교사 간에도 꽃피워져야 한다. 교사가 되면 『서울교육』에서 보았던 선배교사들의 활동사례를 본받아 교실에서 꼭 실천해보고 싶다. 이번 기회를 통하여 『서울교육』은 교사들을 위한 소중한 자료임을 다시금 깨닫게 된다. 가을호에 담길 풍성한 소식들도 기대해본다.

 

One more!

배재현(광신중학교, 교사)

2020년 3월 세상이 멈췄다. 멈춰버린 세상 속에서 질병과 싸우며 어둡고 긴 터널을 헤쳐나오기를 3년. 3년이라는 시간은 학교 현장에서의 관성, 교육에서의 관성을 멈춰버리기에는 차고 넘치는 시간이었다. 우리는 끝이 보이지 않던 터널 끝에서 드디어 빛을 찾았고 지금 터널의 끝에서 새로운 세상을 마주하고 있다.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라고 했던가. 우리는 긴 터널 속 어둠에 적응해 갔다. 누군가는 벽이나 바닥을 짚으며 나아갔고 혹은 앞 사람을 따라가며 자신만의 방식으로 한걸음씩 나아갔다. 그랬던 우리에게 지금의 시간은 새판짜기의 가장 좋은 타이밍이라는 생각이 든다. BC(Before Corona)시대에는 수업에서 새로운 것을 시도하면 따라오기 버거워 하던 학생들이 많았다. 그 당시의 학생들은 기존 교육의 관성 속에서 늘 ‘하던 대로 해요’라며 ‘less’를 외쳤다. 새로운 것을 시도하면 기본적으로 거부해버리는 태도가 몸에 배어 있었다. 팬데믹 속에서 학생들은 결핍, 박탈, 상실을 경험했다. 엔데믹에서는 ‘좀 더해요’라며 ‘more’를 외치고 있다. 우리 학교에서는 농구가 교기임을 주지시키며 엘리트 농구부, 농구 수업, 농구 대회, 농구 동아리, 농구 스포츠클럽, 농구 방과후수업 등을 일원화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전 같았으면 ‘다른 종목 해요’, ‘농구 싫어요’를 외쳤을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0교시 농구 수업에 찾아오고 농구 심화 수업을 요구하며 농구 대회에서 한 게임 더하기를 원하고 있다. 어쩌면 우리는 학교 현장에 다시는 오지 않을 천금 같은 기회를 마주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일반적으로 부상 후 회복 과정에서는 점진적 과부하를 통한 재활을 거쳐야 고강도 운동을 할 수 있다. 하지만 학생들의 회복 속도는 우리의 예상보다 훨씬 빠를 수 있다. 내가 지켜본 학생들은 회복 수준을 넘어 ‘더해요’를 외치고 있다. 이럴 때 우리 모두 힘을 내서 ‘One more’를 외치며 하나라도 더 학생들에게 가르쳐보면 어떨까? 기존의 관성과 코로나19로 인해 펼치지 못했던 교육을 펼칠 수 있는 지금이 회복의 시기가 아닌 더욱 강해질 수 있는 순간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더불어 여름호가 그랬듯 『서울교육』이 앞으로도 ‘One more’를 실현하는 데 함께 하기를 바란다.

 

‘언어순화’로 다시 도전하는 인성교육

김하은(광문고등학교, 교사)

얼마 전 나는 학부모 상담에서 어머님과 함께 울었다. 학부모님께서 전해주셨던, 우리 반 학생이 참아내야 했던 무심한 언어들이 조각조각 내 마음에 비수를 꽂았다. 여전히 우리 교실 현장에서는 상처를 담은 언어들이 은밀하게 학생들 서로의 마음을 좀먹고 있다. 교직에 6년간 있으면서 이렇게 드러나지 않는 학생지도 문제에 직면할 때마다 풀리지 않는 실뭉치가 손 위에 올라가져 있는 느낌이었다.

『서울교육』 여름호의 ‘특별기획’, 경희여중의 언어순화 교육 프로그램을 보면서 실마리를 찾은 기분이 들었다. 아무리 나쁜 마음이라도 예쁜 말로는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기 어렵다. 우리 반에서 있었던 문제들도 아이들이 습관적으로 툭툭 내뱉는 나쁜 언어들 때문이었다. 우리 학급 임원 인성부장, 서기, 총무에게 문제 상황을 공유하고 우리 학급만의 바텀업(Bottom-up) 언어순화 프로그램을 기획해 보자고 제안하니, 고맙게도 아이들이 열정을 갖고 해보겠다고 한다.

또, 경희여중에서 매일 학생들이 실천하는 덕목 주제가 있다는 것을 보면서도 깨달음을 얻었다. 학생들이 올바른 언어사용을 통해 올바른 마음가짐을 내면화할 수 있도록, 또 내가 아이들에게 어른으로서 알려주고 싶은 예쁘고 소중한 언어들을 전달하며 사랑받는 학생들로 성장하게 하고 싶다. 매일 꾸준히 사랑의 언어들을 전하고 아이들의 언어 생활에 관심을 갖고 함께하며 스스로 언어습관을 점검할 수 있도록 돕고 싶다.

교사는 성찰적 실행이 중요하다고 배웠다. 그동안 아이들과 함께하며 재밌게 친구처럼만 지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었던 것을 반성한다. 어려웠던 인성교육을 방관하면서 피해 학생들에게 공감과 위로하는 데 그치는 교사가 아니고 싶다. 지속적이고 꾸준한 언어순화 활동 지도로, 내가 앞으로 만나는 모든 학생들이 타인과 자기 자신에게 예쁜 말로 사랑을 전달할 수 있도록 돕고자 결심하며 『서울교육』 여름호를 덮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