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교육2017Vol.229.겨울호

프로젝트 학습으로 나와 우리를 소개합니다

이선희 서울여자중학교 교사

Ⅰ. 수업의 지향점

처음 교실 수업 모습을 변화시키고자 했을 때 그 지향점을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이 많았다. 수업 중 활동을 통해 도달하거나 성취해야 할 학습자 역량을 무엇으로 설정해야 할 것인지, 이를 위해 상시적인 학습 모형을 어떻게 투입해야 할 것인지, 교사의 수업 설계 혹은 교사의 영향력이 미치는 범위를 어디까지로 설정할 것인지, 학습자의 선택권은 어디까지로 열어 둘 것인지 등 수업의 지향점을 찾는 것이 쉽지 않았다.

Bloom’s Revised Taxonomy(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자료 2013-6,p3.)

본 수업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국어 교과 역량1) 과 블룸의 디지털 텍사노미2)를 근간으로 하는 협력 활동을 수업의 상시적인 구조로 하여 프로젝트 학습을 실천한 사례이다.

Ⅱ. 프로젝트 학습 진행 과정

1. 프로젝트 학습 준비
가. 배움은 학습자의 삶과 연계가 될 때 전이가 잘 일어난다

학교에서 만나는 대부분의 아이들은 조잘조잘 쉼 없이 친구와 이야기한다. 수다 본능의 폭발. 아이들은 놀 수 있는 친구가 있기에 학교가 좋다고 거침없이 말한다. 그렇다면 아이들이 자신들의 언어로 자신들의 삶에 대해 배운 내용과 연관 지어 친구와 이야기하게 할 수는 없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교과의 학습 내용을 학습자의 삶과 연계하는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협력 학습을 바탕으로 하는 프로젝트 활동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 활동을 평가와 연계하였다.

나. 세상을 보는 창은 교실에서도 빛나야 한다

아이들은 매일 어떤 매개체를 사용하여 세상과 만나고 있을까? 스마트폰, 태블릿 PC, 어플리케이션, SNS 등 다양한 스마트 도구들은 아이들이 일상 속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매개체이다. 배움을 삶과 연계하는 것은 그 내용뿐만이 아니라 배움을 이루는 도구에도 그러해야 한다. 학생들이 일상 속에서 만나는 다양한 스마트 도구로 스스로의 삶을 배움 내용과 연결하여 세상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학급별 수업 SNS를 구축하고, 수업 중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프로젝트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업 중 태블릿 PC 활용 장면

2. 프로젝트 학습 실행

프로젝트 학습은 학습자가 스스로 주도성을 갖는 교수·학습 방법이다. 프로젝트 학습을 진행하는 형태는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두 가지 진행 모형3)이 있다. 첫째, 교사가 큰틀을 제시하면 학생들이 자신만의 세부 주제를 선정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형태와 둘째, 주제 선정에서부터 발표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학생이 스스로 계획하고 진행하며 발표하는 형태가 대표적인 모형이다.
전자의 모형을 바탕으로 ‘내가 ( )하는 ( )소개하기’ 개인 프로젝트 활동과 ‘우리 동네 소개 신문 만들기’ 모둠 프로젝트 활동을 연속하여 수행한다.

디딤 영상 시청 후 정리하기

가. 사전학습

프로젝트 학습을 활동하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거꾸로 교실의 사전 학습을 실시한다. 교사는 교과의 핵심적인 지식을 설명하는 내용을 10분 내외의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학급별 수업
SNS에 탑재한다. 학생들은 탑재된 동영상을 시청한 후 자유로운 형식으로 핵심 내용을 정리한 후 제출하고, 교사는 이를 확인한 후 확인 도장을 부여한다. 이때 부여하는 확인 도장은 수행평가
항목 중 ‘포트폴리오 및 과정평가’ 와 연계된다.

나. 1차시: 개인 프로젝트 활동 ① – 말하기 준비표 작성하기
교사는 개인 프로젝트 활동의 대주제를 ‘내가 ( )하는 ( ) 소개하기’로 제시하고, 학생들은 각자 자신에게 맞는 소주제를 선정한 후 소개하기 절차에 따라 개인별로 말하기 준비표를 완성한다. 먼저 소개할 대상을 정하고, 다음으로 대상의 무엇을 소개할 것인지 소개 내용을 정한다. 대상의 특성에 맞게 소개할 내용을 조직하고, 준비할 점과 발표할 때 주의할 점 등에 대해 점검하며 말하기 계획을 수립한다.

다. 2차시: 개인 프로젝트 활동 ② – 동료와 교사의 조언(피드백) 받기

1차시에 완성한 말하기 준비표를 참고하여 모둠 친구들에게 자신의 말하기 계획을 이야기하고, 이를 듣는 모둠 친구들은 수정하거나 보완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조언을 한다. 발표자는 친구들의 조언 내용을 여백에 기록하고, 모둠 친구들의 조언을 검토한 후 최종 수정하여 교사에게 말하기 준비표를 제출한다. 교사는 제출 받은 말하기 준비표를 살펴 본 후 조언(피드백)을 담아 학생에게 되돌려주고, 유의 사항과 채점 기준도 함께 안내한다.

개인 소개 말하기 계획 세우기 + 모둠 친구와 교사의 조언(피드백) 받기

라. 이후 2~3주: 개인 프로젝트 활동 ③ – 개별 말하기 발표 준비

약 2~3주 동안 각자 개인 소개하는 말하기를 준비하며 개인 프로젝트 활동을 수행한다. 준비 기간 동안 학생들은 자신이 정한 소주제와 관련된 실물, 사진, 그림, 동영상 등의 자료를 조사하여 수집하고, 주제를 잘 드러낼 수 있는 원고를 작성하며, PPT나 프레지 등의 보조자료를 제작한다. 말하기 원고와 보조 자료가 완성되면 정해진 시간에 발표 조건에 맞게 소개하는 말하기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전 발표 연습을 한다.

주제가 있는 우리 동네 소개 신문 만들기

마. 3차시~8차시: 모둠 프로젝트 활동 ①∼⑥ – 우리 동네 소개 신문 만들기

교사가 제시하는 모둠 프로젝트 활동의 대주제 ‘주제가 있는 우리 동네 소개 신문 만들기’를 구체화할 수 있는 소주제(테마)를 정한다. 필요한 경우 태블릿 PC를 활용한다. 소주제가 정해지면 관련 자료를 조사하고, 편집 회의를 통해 제호, 지면 수, 지면 분할, 지면 구성 등을 결정하고, 역할을 분담한다. 이때, 취재 계획도 함께 세워 관련 자료를 풍부하게 수집한다. 수집 및 취재한 자료를 바탕으로 각자 자신이 맡은 기사의 초고를 쓴 후 모둠 친구들의 검토를 받은 후 고쳐 쓴다. 완성된 기사는 지면 구성 계획에 따라 배치하여 전체 신문을 완성한다.

바. 완성된 모둠 신문 전시하기

완성된 신문은 2주 동안 전시하는 것으로 활동 결과 발표를 대신한다. 전시 기간 동안 학생들은 개별적으로 포스트잇을 활용하여 칭찬 댓글을 단다.

사. 9~12차시: 개인 프로젝트 활동 ④∼⑦ – 소개하는 말하기 발표하고 듣기

개인 프로젝트 활동의 결과를 미리 정한 순서에 따라 각자 발표하고, 발표자의 발표를 들으며 청중은 듣기 활동표를 작성한다. 발표에 필요한 경우 실물, 사진, 동영상, PPT, 전자칠판 등을 보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아. 평가하기

개인과 모둠 프로젝트 활동 수행 과정과 종료 후에 학생들은 자기평가, 모둠 내 상호평가, 모둠 간 상호평가를 실시한다.

모둠 프로젝트 활동 결과 발표하기 및 긍정 댓글 달기 / 개인 프로젝트 활동 결과 발표하기

1) 자기평가, 모둠 내 상호 평가하기, 모둠 간 상호 평가하기

2) 평가 기준: 과정 중심 평가 + 분석적 채점
프로젝트 학습의 수행 과정과 결과를 모두 측정하기 위해 ‘나와 우리를 소개합니다’ 프로젝트에서는 과정 중심 평가와 분석적 채점을 실시하였다.

자. 활동 과정과 결과 기록하기

‘나와 우리를 소개합니다’ 개인 및 모둠 프로젝트 수행 과정과 결과를 개인별로 정리하여 생활기록부에 기록한다.

Ⅲ. 마무리하며

긴 호흡으로 ‘나와 우리를 소개합니다’ 프로젝트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아이들은 얼마만큼 성장하였을까? 바라건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국어과 교과 역량 중 ‘의사소통 역량,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자료·정보 활용 역량, 공동체·대인관계 역량’의 어느 한 곳에서는 한 뼘쯤 자라났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