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바칼로레아(KB) 교육정책 – 한국형 바칼로레아의 필요성과 교육방향 강충인(미래교육자, 교수) 빅데이터 챗GPT로 세계교육 시장이 급변함에 따라 창의적 교수학습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바칼로레아”라는 단어가 알려지고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9월 3일 정책연구
서울교육정책의 쟁점과 연구 방향을 논하다 [한국교육학회 주최 2023 학술대회: 서울교육정책연구소 기관 세션] 박승철(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교육연구사)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SEPI)는 고려대학교 운초우선교육관에서 6월 28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행된 「한국교육학회 주최 2023 연차학술대회」에서 ‘서울교육정책의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9월 3일 정책연구
우리 학교는 얼마나 다문화 친화적일까? 김명희(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연구위원) 2022년 서울교육정책연구소 자체연구로 수행된 「다문화 친화적인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다문화교육 정책 개선방안 연구: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9월 3일 정책연구
협력종합예술활동을 경험한 서울 중학생에게 나타난 정의적 특성의 변화 민경석 (세종대학교, 교수) 이 원고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연구 보고서(서울교육 2023-33)의 요약본임을 밝힌다. 1. 서 론 국가수준 혹은 교육청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6월 3일 정책연구
지난 10년, 서울 학생들의 학교생활은 어떻게 달라졌나? 안영은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연구위원) ◼ 본 고에서는 『서울교육종단연구』 1기(2010년 조사)와 2기(2021년 조사)의 학교생활 영역 공통문항 전체를 활용하여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6월 3일 정책연구
코로나19 시기 신규교사의교직적응 유형과 경험에 대한 분석 정 송(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연구위원)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발간“『서울교원종단연구 2020』 2차년도 시행 및 결과 분석(서교연 2022-71)” 중 일부를 수정하였다.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3월 1일 정책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