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충하는 전환, 미래학교 지향에 대한 교육 3주체 인식 분석 주정흔(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선임연구위원) 정충대(서울구로초등학교, 교사) I. 문제의식 세계는 지금 저출생 학령인구 감소, 기후 위기, AI로 대표되는 첨단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4년 11월 30일 정책연구
서울 학생 가치관 조사 연구 장선희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연구위원) I. 서론 최근 디지털 대전환을 비롯한 급격한 사회 및 교육 환경의 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4년 9월 3일 정책연구
학교수업 내 에듀테크 활용 정도가 중학생의 교육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안영은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연구위원) I. 서론 최근 미래 사회를 대비하여 공교육 안에서도 에듀테크(Edu-Tech)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노력이 확산되고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4년 6월 7일 정책연구
[2023 서울국제교육포럼]을 통해 우리가 배운 것들 이민재 명예기자 2023 서울국제교육포럼은 ‘학교에서 길을 찾다: 학교공동체의 건강한 관계 맺기’를 주제로 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의 주관으로 11월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4년 2월 28일 정책연구
[톺아보는 서울교육]초등학교 교육과정 내 상담활동,어떻게 할까? 김유리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연구위원) 초등학교 학교상담은 학생들의 인성/사회성 및 학업, 진로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발달을 돕는 종합적이고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4년 2월 28일 정책연구
한국형 바칼로레아(KB) 교육정책 – 한국형 바칼로레아의 필요성과 교육방향 강충인(미래교육자, 교수) 빅데이터 챗GPT로 세계교육 시장이 급변함에 따라 창의적 교수학습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바칼로레아”라는 단어가 알려지고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9월 3일 정책연구
서울교육정책의 쟁점과 연구 방향을 논하다 [한국교육학회 주최 2023 학술대회: 서울교육정책연구소 기관 세션] 박승철(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교육연구사)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SEPI)는 고려대학교 운초우선교육관에서 6월 28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행된 「한국교육학회 주최 2023 연차학술대회」에서 ‘서울교육정책의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9월 3일 정책연구
우리 학교는 얼마나 다문화 친화적일까? 김명희(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연구위원) 2022년 서울교육정책연구소 자체연구로 수행된 「다문화 친화적인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다문화교육 정책 개선방안 연구: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9월 3일 정책연구
협력종합예술활동을 경험한 서울 중학생에게 나타난 정의적 특성의 변화 민경석 (세종대학교, 교수) 이 원고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연구 보고서(서울교육 2023-33)의 요약본임을 밝힌다. 1. 서 론 국가수준 혹은 교육청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6월 3일 정책연구